git/gitCommand

git commit

oniri1 2024. 10. 11. 11:09

1. 커밋이란?

내용을 저장하고 버전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

기본 구문

git commit -m "요약 메세지"

  • -m: 커밋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며 어떤 방식으로 써도 상관은 없지만, 암묵적으로 정해진 태그들이 있다.

개발자로서 올바른 커밋의 예

버그

  • fix: 버그를 수정한 경우
  • bugfix: 버그 수정 시 사용

기능 추가

  • feat: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
  • add: 새로운 파일 + 기능 추가

리팩토링

  • refactor: 코드가 이쁘게 수정되었을 때
  • perf: 성능 향상시

문서

  • docs: 문서 작업 이름

스타일

  • style: 세미클론이나 공백, 줄바꿈으로 인한 변화

테스트

  • test: 테스트 코드 작성시

배포

  • build: 빌드 관련 변경
  • ci: CI 설정 파일(YML)이나 스크립트 수정`

2. 커밋 과정

  1. git add : 파일을 변경 되었다면, git commit을 하기 전에 변경 파일을 git에 추가하는 명령어
git add 파일명         # 특정 파일만 추가
git add .                # 모든 변경 파일 추가
  1. git commit
git commit -m "변경에 대한 설명"

git commit -a -m

git add를 생략하고 변경된 파일을 자동으로 추가 후 커밋

git commit -a -m "자동 추가 및 커밋"

git commit -a는 이미 트래킹되고 있는 파일만 포함되며, 새로운 파일은 git add 필수

git commit --amend

커밋 수정

이미 커밋한 내용을 수정하고 싶을 때는 --amend 옵션을 사용하여 마지막 커밋을 수정할 수 있다.

git commit --amend -m "수정된 커밋 메시지"

이전 커밋을 수정하거나 덮어쓰며, 새로운 커밋을 생성하는 명령어가 아니다.
또한 커밋은 작은 단위로 커밋을 자주 해주는게 좋으며, 내용을 명확하게 입력해두는 편이 좋다.

'git > gitComma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 reset, git revert  (0) 2024.10.14
git HEAD  (0) 2024.10.14
git merge, git rebase  (0) 2024.10.11
git checkout  (0) 2024.10.11
git branch  (0) 2024.10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