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ag와 같이 사용하면 굉장히 유용하다.
가장 가까운 tag를 기준으로 현재 브랜치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, 그리고 커밋의 해시값을 나타내준다.
git describe main
명령시 v1_2_gC2
가 출력 되었다라고 가정했을 때
main 브랜치는 v1이라는 태그를 기준으로 2번 커밋 되었으며 그 해시값은 gC2임을 나타낸다.
g를 제외한 C2가 해시값이다.
'git > gitComma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tag (1) | 2024.10.14 |
---|---|
git cherry-pick (0) | 2024.10.14 |
git reset, git revert (0) | 2024.10.14 |
git HEAD (0) | 2024.10.14 |
git merge, git rebase (0) | 2024.10.11 |